티스토리 뷰

반응형

<해저2만리>줄거리,작가 쥘베른, 경이의여행시리즈

★줄거리

해저 2만리. 상상 이상의 경이로움으로 가득한 여정

1866년, 전 세계를 휩쓴 바다 괴물의 소문.

프랑스 해양 생물학자 피에르 아로낙스 교수는 그의 조수 콩세유와 함께 이 미스터리에 직접 뛰어들기로 합니다. 그들은 '나르발' 함에서 조난을 당하지만, 운명적으로 '바다 괴물'의 정체가 밝혀집니다. 바로 혁신적인 기술로 만들어진 잠수함 '노틸러스 호'였던 것입니다.

네모 선장, 과학과 비밀에 싸인 남자.

노틸러스 호의 선장 네모는 과학 지식과 기술력으로 잠수함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인물입니다. 그는 아로낙스 교수와 콩세유에게 신비로운 바닷속 세계를 보여주며, 그들과 함께 남태평양, 인도양, 홍해, 지중해, 대서양, 북극 등 전 세계 바다를 탐험합니다.

눈부시게 펼쳐지는 바닷속 풍경.

다양한 해양 생물, 침몰선, 해저 산맥, 남극 지하 세계까지, 아로낙스 교수와 콩세유는 상상 이상의 경이로움을 경험합니다. 그들은 깊은 바닷속에서 펼쳐지는 신비로운 생태계와 자연의 아름다움에 감탄하며, 인간의 무한한 탐구 욕구를 느낍니다.

네모 선장의 고독과 갈등.

하지만 네모 선장은 과거의 비밀과 인간 사회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육지와 단절된 채 바닷속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는 아로낙스 교수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조금씩 털어놓으며, 과학과 인간, 사회에 대한 깊은 고민을 드러냅니다.

탈출과 새로운 삶을 향한 여정.

아로낙스 교수는 네모 선장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육지로 돌아갈 것을 결심합니다. 여러 번의 탈출 시도 끝에 그는 콩세유와 함께 노틸러스 호를 탈출하여 육지로 돌아오게 됩니다.

잊을 수 없는 기억, 영원히 이어지는 이야기.

아로낙스 교수는 네모 선장과의 만남과 바닷속 탐험 경험을 책으로 출판합니다. 그는 네모 선장의 비밀을 존중하면서도 인간 사회와 단절된 삶의 한계를 드러냅니다.

★작가 쥘 베른

1. 어린 시절 1828년 2월 8일 프랑스 낭트에서 태어남 아버지는 변호사였고 어머니는 소설가를 꿈꿨음 어린 시절부터 글쓰기에 재능을 보였고, 12세 때 첫 번째 소설을 쓰다 낭트 리세에서 교육을 받음

2. 청년 시절

아버지의 바람에 법학을 공부했지만, 글쓰기를 포기하지 않음 1848년 파리로 이사하여 법률가로 일하면서 여가 시간에 글쓰기 알렉상드르 뒤마와 같은 유명 작가들과 만나 조언을 구함 1850년 첫 번째 희곡 "아르테미스의 후손들" 초연

3. 성공적인 작가

1863년 "기구를 타고 5주일" 출판하여 큰 성공 거둠 이후 "지구에서 달까지", "해저 2만리", "80일 동안 세계 일주" 등 과학 소설 걸작들을 발표 "경이로운 여행"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많은 소설들을 출판 과학적 상상력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전 세계 독자들에게 사랑받음

4. 사생활

1857년 아멜리 드 라포르트와 결혼< 두 아들과 딸을 두었음 낭트 근처의 아미앵에 집을 짓고 거주 1905년 3월 24일 아미앵에서 사

5. 쥘 베른의 유산

과학 소설 장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침 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줌 과학 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과학 교육에도 기여 그의 작품은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음 쥘 베른은 과학 소설의 아버지로 불리는 프랑스 작가입니다. 그는 과학적 상상력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가득한 작품들을 통해 전 세계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과학 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과학 교육에도 기여했습니다.

★경이의 여행 시리즈

경이로운 여행은 1863년부터 1905년까지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이 쓴 54개의 소설과 단편 소설 모음입니다.

이 시리즈는 모험, 과학 소설, 판타지 등 다양한 장르를 포함하며 베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일부를 포함합니다.

80일 동안의 세계 일주(1873)

80일 동안의 세계일주(1873)
지구에서 달까지(1865)

지구에서 달까지(1865)
해저 2만리(1870)

해저 2만리 (1870)
신비로운 섬(1874)

신비로운 섬(1874)

지구 중심으로의 여행(1864)

지구 중심으로의 여행(1864)
 
 
 
 
 

 

반응형